배너 닫기
뉴스등록
맨위로

충남도, 2030년까지 수소버스 1200대 보급 

도, 30개 기관·기업과 협약… 경유버스 1200대 수소버스로 전환, 수소충전소는 67기로 늘리기로

등록일 2024년12월06일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민선8기 힘쎈충남이 2030년까지 경유버스 1200대를 수소로 전환한다.

또 수소충전소는 67기로 늘려 화석연료에서 청정수소로 도내 버스의 에너지 전환 기반을 마련하고 기후위기 주범인 온실가스를 저감하며 탄소중립 시대를 견인한다.
 

김태흠 지사는 6일 천안시청 대회의실에서 이병화 환경부 차관, 홍성현 도의회 의장, 김지철 도교육감, 박상돈 천안시장을 비롯한 15개 시군 단체장 또는 부단체장, 12개 기관·단체·기업 대표와 ‘2030 청정 수소로(路) 이음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12개 기관·단체·기업은 한국자동차환경협회, 한국가스기술공사, 충남버스운송사업조합, 충남전세버스운송사업조합, SK이노베이션 E&S, 현대자동차, 삼성디스플레이, 롯데케미칼, 한화토탈에너지스, HD현대오일뱅크, 현대제철, IBK투자증권 등이다.

이번 협약은 도내 수소 교통전환과 원활한 수소버스 보급, 수소충전소 구축 지원·협력을 위해 맺었다.

협약에 따르면, 도는 수소 교통 전환 행·재정적 지원과 함께, 2030년까지 수소버스 1200대를 보급한다. 이는 현재까지 도내에 보급된 수소버스 48대의 25배 확대 규모이며, 각 기관·기업이 2030년까지 대차·폐차·신차 구입계획으로 잡은 4000여대의 30% 수준이다.

수소충전소는 현재 24기에서 67기로 늘린다.

환경부는 수소 교통전환을 위해 수소버스·수소충전소 관련 행·재정적 지원을 편다.

도의회는 관용버스 대차·폐차·신차 구입 시 수소버스를 의무적으로 우선 구입하고, 도교육청은 통학버스 구입시 학교여건을 고려해 수소버스 구입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도내 각 시·군도 수소버스를 우선·의무 구입하고, 수소충전소 신규 부지확보와 보조금 적시 지원에 협력하며, 한국자동차환경협회와 한국가스기술공사는 도내 수소 충전인프라를 적기 구축·운영한다.

SK이노베이션 E&S는 도내 안정적 수소공급과 충전인프라 적기 구축·운영을, 현대자동차는 수소버스 적기 생산 및 공급과 수소상용차 정비서비스 거점 구축에 협력한다.

삼성디스플레이 등 기업들은 업무용 차량 무공해 전환에 우선 참여해 ESG 경영을 실천한다.

충남버스운송사업조합과 충남전세버스운송사업조합은 신규 수소버스 도입과 차고지 내 수소충전소 구축에 협력하기로 했다.

IBK 투자증권은 외부사업 배출권 거래 컨설팅과 수소 교통전환 비용에 대한 우대이율을 지원한다.
 

이번 경유버스 수소 전환을 위해 투입하는 사업비는 총 4841억 원이다.

지난해까지 102억원을 투입했고, 올해는 44억원을 들여 14대를 보급한다. 내년에는 291억 원을 투입해 43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수소충전소 구축에는 총 1851억원을 투입할 예정으로, 지난해까지 383억원을 투입하고, 올해는 120억원을 투입 중이다.

도는 2030년까지 경유버스 1200대를 수소버스로 전환하면, 버스 1대당 연간 10만㎞를 주행한다고 볼 때, 연간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8만6000톤과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질소산화물 1200톤, 미세먼지 27톤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협약식에서 김태흠 지사는 “2030년까지 모든 시·군에 수소충전소를 3개 이상 설치해 어디서든 20분 이내 거리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도는 내년부터 수소버스 구입 도비 지원금을 6000만원으로 상향한다.

이 지원금과 환경부 구매보조금, 현대차 할인혜택 등을 적용하면, 6억3000만원에 달하는 수소버스 1대를 구입하는데 드는 비용(자부담)은 1억2500만원이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학수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뉴스 라이프 우리동네 향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