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맨위로

‘충남·대전 혁신도시 지정’… 도약의 날개를 펴다

공공기관 이전과 행정수도 완성 등에 기대, 충남정치권들 환영 일색

등록일 2020년10월08일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8일(목) 본회의를 열고 ‘충남혁신도시 지정안건’을 원안의결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간 수도권 과밀화로 사회적·경제적 비효율은 심각해졌지만 지방에서는 인구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충남혁신도시 지정은 수도권과 지방이 고르게 잘 사는 나라로 가는 첫걸음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정 이후 현재까지 전국 11개 광역시·도 중 10곳에 혁신도시가 지정됐으나, 대전·충남의 경우 세종시와 인접해 있다는 이유만으로 혁시도시 지정에서 제외된 바 있다.

이에 혁신도시 지정사업은 충남도민들의 오래된 숙원사업으로 타 지역과의 불균등과 소외감을 해소하고자 양승조 도지사를 비롯한 여러 국회의원들과 함께 대전·충남 혁신도시를 지정하고 국가균형발전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국회와 정당에 제출하는 등 노력을 해왔다.
 


 

충남·천안정치권 “환영합니다”

‘충남혁신도시 지정’에 따라 충남도내 정치권의 환영이 이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충남도당(위원장 강훈식)은 8일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이번 의결을 뜨겁게 환영하며,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고 온당한 결정’이라고 논평했다. 또한 ‘오늘의 결실은 101만명이 넘는 충남도민이 서명운동에 동참했고, 지역 정치권에서도 정책토론회, 공동입장문 채택, 현장간담회 등 다양한 방법으로 힘을 보탰다’며 ‘더 나아가 공공기관 이전, 행정수도 완성과 국토균형발전을 위해 도민과 함께 하겠다’고 전했다.

국민의힘 충남도당(위원장 박찬주)도 ‘환영한다’며 ‘충남·대전 혁신도시 확정을 통해 공공기관이 이전하게 되면 지역출신 인재들을 의무적으로 최대 30%까지 채용하도록 규정된 만큼 이들 기관의 이전을 통해 충청지역에 좋은 일자리가 만들어지고 이전에 따른 경제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천안의 갑·을·병 국회의원들도 각각 환영의 메시지를 던졌다.

문진석(더불어민주당·천안갑) 의원은 “지난 8월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노영민 비서실장에게 혁신도시 지정을 촉구해 긍정적인 답변을 받아내기도 했다”며 “충남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산업발전에 함께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공공기관을 유치하는데 앞장서겠다”고 다짐했다.

박완주(더불어민주당·천안을) 의원은 “충남 혁신도시 지정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고 했다. 그는 “충남 혁신도시가 국가균형발전의 디딤돌이 되고 2차공공기관 이전을 통해 혁신도시가 완성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고 밝혔다.

이정문(더불어민주당·천안병) 의원도 “비수도권 지역 중 유일하게 혁신도시가 없어 타 지역과 달리 경제적·재정적으로 많은 불이익과 소외감을 받던 대전·충남지역의 공정한 기회가 주어졌다”며 환영의 입장을 밝혔다. 이 의원은 “혁신도시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의 조속한 진행과 지방분권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각오를 밝혔다.
 

박상돈 천안시장도 ‘혁신도시 지정 환영’

박상돈 천안시장이 충남의 혁신도시 지정에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박 시장은 12일 간부회의 자리에서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지난 8일 충남의 혁신도시 지정을 심의 의결해 그동안 충남도와 시·군이 함께한 노력이 결실을 거두게 됐다”며 “혁신도시 지정이 충남과 천안발전의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공공기관에 대한 지역인재채용 등 직·간접적인 파급효과와 함께 혁신도시로 신청한 내포지역뿐만 아니라 도내 시·군의 특성과 여건을 고려한 연계 발전방향을 마련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천안은 편리한 교통과 정주여건, 산업 및 연구기반 등이 우수하고 내포의 보완적 기능, 수도권과 세종청사연계 거점역할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수도권 공공기관의 2차 지방이전 논의과정에서 대상, 방법, 시기 등의 가변성이 있고 특수성이 있는 개별이전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놓고 모든 부서가 협력해 달라”고 주문했다.

아울러 “이미 천안에 위치한 공공기관 연관시설의 집적화를 통한 확장성 측면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능지구, KTX역세권 R&D집적지구, 강소연구개발특구, 스타트업파크 관련 기관이나 연구원·분원 등의 거점화 전략도 다각적으로 검토할 것”을 강조했다.

김학수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뉴스 라이프 우리동네 향토